1. HPV란 무엇인가
1.1 바이러스의 개념
- HPV(Human Papillomavirus)는 ‘사람 유두종 바이러스’로 불리며, 피부나 점막에 사마귀(유두종) 등을 유발할 수 있는 DNA 바이러스입니다.
- 전체적으로 200종류 이상이 확인되었는데, 이 중 일부 유형은 여성과 남성의 생식기에 암(자궁경부암, 질암, 외음부암, 항문암, 남성 생식기암)을 일으키는 고위험군(High-risk type)으로 분류됩니다.
- 저위험군(Low-risk type) HPV는 생식기 사마귀(곤지름) 등을 일으키긴 하지만 암 발생 위험은 낮습니다.
1.2 역사적 배경
- HPV 관련 연구는 20세기 초부터 조금씩 이루어져 왔지만, 본격적인 부각은 자궁경부암의 원인을 규명하는 과정에서 비롯되었습니다.
- 독일의 바이러스학자 Harald zur Hausen이 HPV와 자궁경부암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큰 기여를 했고, 그 공로로 2008년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습니다.
- 이후 HPV 검사와 백신 개발이 빠르게 진전되면서, 현재는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한 필수 지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.
1.3 바이러스 구조
- HPV는 이중가닥 DNA 바이러스이며, 캡시드(바이러스 껍질)를 가지고 있지만 외피(Envelope)는 없습니다.
- L1과 L2 단백질이 캡시드를 구성하며, L1은 특히 백신 타깃(바이러스유사입자, VLP)으로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.
- 바이러스가 표피(피부의 가장 바깥 층)나 점막 상피에 감염되어, 세포 핵 안에서 증식한 뒤 상피세포가 성숙해 감염입자를 외부로 방출하는 특징이 있습니다.
2. HPV의 유형 분류
2.1 고위험군 vs. 저위험군
- 고위험군(High-risk HPV): HPV 16, 18, 31, 33, 45 등 다수가 포함됩니다. 이 중 HPV 16, 18 두 가지가 자궁경부암의 70% 이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.
- 저위험군(Low-risk HPV): HPV 6, 11 등이 대표적이며, 생식기 사마귀(곤지름)를 일으키는 주원인입니다. 암으로 진행될 위험은 낮지만, 증상이 성가시거나 재발하기 쉬워 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.
2.2 감염 부위별 특징
- 생식기 감염: 여성 자궁경부, 질, 외음부, 남성 음경, 항문 주변 등에 사마귀나 세포이형성을 일으킵니다.
- 구강·인후 감염: 구강, 인두(편도) 등 점막 부위에 사마귀가 생기거나, 구인두암과 연관성이 있는 HPV 유형도 보고되었습니다.
- 피부 감염: 손발 사마귀, 편평 사마귀, 사마귀성 피부병 등을 유발하는 HPV 유형도 존재합니다.
2.3 ‘High-risk HPV’가 왜 문제인가
- 고위험군 HPV는 세포 내에서 E6, E7 단백질을 발현해, 종양억제유전자(p53, Rb 등) 기능을 방해합니다.
- 이로 인해 감염된 상피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면서, 장기간 지속 감염 시 세포 이형성증(전암 병변)이 발생하고, 더 나아가 암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.
3. 감염 경로와 위험 요인
3.1 감염 경로
- 성적 접촉: HPV는 주로 성관계(질, 구강, 항문 성교) 및 성적 피부 접촉을 통해 전파됩니다. 콘돔을 사용하더라도 완벽하게 감염을 막지 못할 수 있습니다.
- 피부 대 피부 접촉: 저위험군 HPV(사마귀를 일으키는 유형)는 사마귀가 있는 부위를 만져서 옮길 수 있습니다.
- 출산 시 산모→신생아 전파: 드물게 산도를 통해 전염될 수 있으며, 신생아가 후두유두종 등을 앓을 가능성이 있습니다.
3.2 위험 요인
- 이른 나이의 성경험: 더 젊은 시기에 성접촉이 시작될수록 HPV 노출 가능성이 커집니다.
- 성 파트너가 많은 경우: 파트너 수가 많거나 상대방이 다수의 파트너를 가진 경우 감염 위험이 높아집니다.
- 면역력 저하: HIV 감염자, 면역억제 치료 중인 환자, 만성질환자 등은 HPV 감염에 취약하고, 감염 후에도 더 쉽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.
- 흡연: 흡연은 자궁경부암 등 여러 암의 위험 인자입니다. HPV 감염과 시너지 효과로 암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4. HPV 감염 후 나타날 수 있는 질환
4.1 자궁경부암(Cervical Cancer)
- 여성에게서 가장 대표적으로 알려진 HPV 관련 암입니다. 전 세계 여성 암 발생 중 4위를 차지할 정도로 환자가 많습니다.
- HPV 감염 후 대체로 10년 이상 장기간에 걸쳐 세포 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에, 정기검진(Pap Smear, HPV 검사)을 통해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면 대부분 암으로 진행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.
4.2 생식기 사마귀(곤지름, Condyloma Acuminata)
- 주로 HPV 6, 11형이 원인이며, 생식기 또는 항문 주변에 닭볏 모양의 사마귀가 나타납니다.
- 통증보다는 미용적, 위생적으로 불편을 초래하며, 성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.
- 제거 시에도 재발이 잦은 편이라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.
4.3 기타 암(질암, 외음부암, 항문암, 구인두암 등)
- 고위험군 HPV는 질암, 외음부암, 항문암을 비롯하여, 남성에서도 항문암, 음경암 발병 위험을 높입니다.
- 구강 성교 등을 통해 구강인두(편도, 혀 뒷부분)에 HPV가 감염되어 구인두암(Oropharyngeal Cancer)을 일으키기도 합니다. 최근 선진국에서는 HPV 관련 구인두암의 발생이 증가 추세라는 보고도 있습니다.
5. HPV 감염의 자연 경과
5.1 감염 후 바로 암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
- 많은 사람이 HPV 감염을 ‘암 확정’으로 인식하지만, 실제로는 대다수(약 70~90%)가 1~2년 내에 자연 배출되어 소멸됩니다.
- 면역체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면, 무증상 상태로 지나가고 다시 HPV가 검출되지 않는 사례가 흔합니다.
5.2 지속 감염의 위험성
- 문제는 ‘고위험군 HPV’가 장기간 지속 감염되는 경우입니다.
- 이때 점차 경도 이형성증(CIN1) → 중등도(CIN2) → 고등도(CIN3) → 침윤암 순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.
- 중간단계에서 발견하면 원추절제술 등으로 암 전단계 병변을 제거해 완치가 가능합니다.
5.3 면역력, 바이러스 유형, 생활습관
- 지속 감염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으로, 면역력 저하, 흡연, 반복 감염, 고위험 유형(16, 18 등) 등이 꼽힙니다.
-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정기 검진을 받는다면, 조기에 문제가 발견되어 암 진행을 상당 부분 막을 수 있습니다.
6. 진단과 검사
6.1 자궁경부암 검진
Pap 스미어(Pap smear, 세포검사)
- 자궁경부 세포를 채취해 현미경으로 이형성 여부를 확인하는 전통적 방법입니다.
- 이상소견이 나타나면, 정확한 병변 진단을 위해 조직검사(생검)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.
HPV DNA 검사
- 직접 바이러스의 DNA를 검출하는 방식으로, 고위험 HPV 감염 여부를 선별합니다.
- Pap 스미어와 병행하거나, 30세 이상 여성에서 단독 검사 또는 병행 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.
Colposcopy(질 확대경 검사)
- Pap 스미어나 HPV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있을 때, 병변 부위를 자세히 관찰하고 필요 시 조직을 채취해 확진합니다.
6.2 남성 검진
- 남성은 현재 정기적인 HPV 검사가 보편화되어 있지 않습니다.
- 항문암 위험이 높은 남성(특히 남성 동성애자, HIV 감염자 등)에서는 항문 세포 검사(Anal Pap smear)와 HPV 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.
- 생식기 사마귀나 의심 병변이 있을 경우, 피부과·비뇨기과 진료를 통해 바이러스성 병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.
6.3 구강·인두 검사
- 구인두암 등이 의심될 때, 조직검사나 HPV 유형 검출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.
- 아직 일반인에게 정기 구강 HPV 검사를 권장하는 지침은 없으나, 고위험군(흡연, 다수의 구강성교 파트너 등)에서 상담을 권유하기도 합니다.
7. 치료와 관리
7.1 자궁경부 이형성증 치료
- 경도 이형성증(CIN1): 상당수가 자연소실 되므로 추적 관찰을 권장합니다.
- 중등도~고등도 이형성증(CIN2, CIN3): 원추절제술(Conization), LEEP(고주파 루프 전기로 소작) 등을 통해 병변 부위를 제거합니다.
- 적절히 조기 치료하면 암으로 진행하기 전에 완치가 가능하며, 치료 후에도 정기 추적검사가 필요합니다.
7.2 생식기 사마귀(곤지름) 치료
- 국소치료: 트리클로로아세트산(TCA), 포도필린연고, 이미퀴모드 크림 등 바이러스에 감염된 조직을 국소적으로 제거하거나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방법.
- 물리적 제거: 레이저, 냉동치료(액화질소), 전기소작 등을 통해 사마귀 병변을 태우거나 동결시켜 제거합니다.
- 재발률이 비교적 높으므로, 여러 차례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7.3 HPV 감염 자체를 ‘박멸’하는 치료는 없다
- 일반적인 항생제처럼 ‘HPV를 직접 사멸시키는’ 약은 현재 상용화되지 않았습니다.
- 그렇기 때문에 증상이 있는 병변 제거, 면역력 강화, 생활습관 개선, 정기검진을 통한 병변 조기발견이 핵심 전략입니다.
8. HPV 백신
8.1 백신 종류
- 2가 백신(Cervarix): HPV 16, 18형 방어. 주로 자궁경부암 예방에 초점.
- 4가 백신(Gardasil): HPV 6, 11, 16, 18형 방어. 자궁경부암(16,18) + 생식기 사마귀(6,11) 예방 가능.
- 9가 백신(Gardasil 9): 4가 백신에 추가로 5가지 고위험형(31, 33, 45, 52, 58)이 더 포함되어, 자궁경부암 예방률이 더 높아짐.
8.2 접종 권장 연령
- 세계보건기구(WHO)를 포함해, 많은 나라에서 9~14세 전후 사춘기 전의 연령대에 HPV 백신 접종을 권장합니다(2회 접종).
- 청소년기에 미접종했다면, 성인이 되어서도 접종할 수 있습니다. 15세 이상은 3회 접종이 표준 권장 일정입니다.
- 성경험 전 접종이 가장 효과적이지만, 이미 HPV 감염 이력이 있더라도 백신을 접종하면 다른 유형 예방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.
8.3 안전성과 부작용
- 접종 부위 통증, 두통, 피로감 등 경미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나, 일반적으로 수일 내 호전됩니다.
- 심각한 부작용(아나필락시스, 신경학적 문제 등)은 매우 드물며, 대규모 연구에서도 HPV 백신의 안전성이 여러 차례 확인되었습니다.
8.4 백신의 한계
- 이미 감염된 HPV 유형에는 예방효과가 없으며, 백신 대상 유형 이외의 HPV에 대해서도 완벽 보호가 불가능합니다.
- 따라서 백신 접종 후에도 정기검진이 필요하며, 안전한 성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9. HPV와 성생활, 예방 방법
9.1 콘돔 사용
- 콘돔은 성병 예방에 큰 도움이 되지만, HPV의 경우 성기 주변 피부 접촉만으로도 옮길 수 있어 완벽 차단이 어렵습니다.
- 그래도 다양한 성병 예방, 임신 예방을 위해서는 콘돔 사용이 강력히 권장됩니다.
9.2 정기검진
- 여성은 자궁경부암 검진(Pap 검사, HPV 검사 등)을 정기적으로 받아야 합니다.
- 성 파트너가 여러 명이거나, 면역저하 상태인 사람이라면 더 빈번하게 검진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.
- 일부 국가(우리나라 포함)에서는 국가 차원에서 자궁경부암 검진을 지원해주므로,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9.3 금연, 면역력 관리
- 흡연은 자궁경부암 등 여러 암 발생 위험을 높입니다.
- 규칙적인 운동, 균형 잡힌 식단, 충분한 수면 등으로 면역력을 관리하면 HPV 감염 시 자연소실 될 가능성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.
10. 많이 묻는 질문 (FAQ)
Q: “HPV 감염 사실을 알면 무조건 암이 생기나요?”
- A: 아니요. HPV에 감염되어도 대부분은 수개월~2년 이내에 자연 배출되며, 암으로 진행되는 것은 극히 일부입니다. 다만 고위험 HPV가 지속 감염되면 위험성이 커지므로 정기검진과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합니다.
Q: “남성도 HPV 백신이 필요한가요?”
- A: 네, 남성도 HPV 백신을 접종할 수 있으며, 항문암·음경암·생식기 사마귀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 해외 여러 국가에서는 남아에게도 정규 예방접종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.
Q: “이미 성경험이 있으면 HPV 백신이 소용없나요?”
- A: 성경험이 있더라도, 아직 접촉하지 않은 다른 HPV 유형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이점이 있습니다. 다만 예방범위가 전체 HPV 유형을 모두 막지는 못하므로, 백신 후에도 검진은 계속 필요합니다.
Q: “곤지름(생식기 사마귀)이 있는데, 이게 암으로 진행하나요?”
- A: 곤지름은 대부분 저위험 HPV(6, 11) 감염으로 생기며, 직접 암을 유발하지는 않습니다. 하지만 다른 고위험 유형과 동시 감염될 수도 있으므로, 증상 발생 시 의료진 상담이 권장됩니다.
Q: “HPV 감염은 어떻게 완치하나요?”
- A: 현재로서는 ‘HPV를 박멸’하는 치료제는 없고, 대부분 면역에 의해 자연소멸됩니다. 병변(사마귀, 이형성증 등)을 치료하고, 면역과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11. 최신 연구 동향
11.1 2세대·3세대 HPV 백신
- 9가 백신 이후에도, 더 많은 유형을 포괄하거나 특이적 면역 반응을 강화하는 차세대 백신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.
- mRNA 플랫폼 등을 활용한 HPV 백신 개발 시도도 학계에서 발표되고 있습니다.
11.2 치료용 백신(Therapeutic Vaccine)
- 이미 감염된 HPV를 제거하고, 이형성증이나 초기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도록 면역체계를 활성화하는 ‘치료 백신’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.
- E6, E7 종양단백질을 타깃으로 하는 후보물질들이 임상시험에 들어갔으나, 아직 상용화 단계는 아닙니다.
11.3 면역치료와의 병행
- 자궁경부암, 항문암, 구인두암 등 HPV 관련 암 환자에게 면역관문억제제(Immune checkpoint inhibitor)를 사용하는 임상시험이 늘고 있습니다.
- HPV 양성 종양은 면역치료에 더 잘 반응한다는 일부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어, 향후 치료 전략에 변화가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.
11.4 남성 대상 HPV 검진·관리
- HPV가 여성암의 원인이라는 인식은 널리 퍼져 있지만, 남성도 항문암·구인두암 등에 취약하다는 연구가 축적되고 있습니다.
- 일부 전문가들은 남성 검진 가이드라인 설정 필요성을 제기하며, 항문Pap 검사 등을 정기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
12. 공중보건 및 사회적 영향
12.1 자궁경부암 예방의 중요성
- WHO는 2030년까지 자궁경부암을 퇴치(Elimination) 목표로 “HPV 백신 90% 접종, 70% 검진, 90% 치료” 전략을 제시했습니다.
- 다양한 국가에서 HPV 백신을 국가예방접종 프로그램(NIP)에 포함해, 청소년기 접종률을 높이고 있습니다.
12.2 남녀 공통 접종 정책
- 호주, 영국, 미국 등은 이미 남녀 공통 HPV 백신 접종을 도입한 지 오래입니다.
- 이런 정책 덕분에 호주는 2028년경 자궁경부암 퇴치 국가에 근접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이 있습니다.
12.3 사회적 편견과 정보 부족
- HPV 감염은 성적(性) 문제와 밀접하여, 공개적으로 논의하기 꺼려하는 사회 분위기가 남아 있습니다.
- 백신안전성에 대한 오해와 각종 루머도 만연합니다. 이에 대한 의학적, 과학적 정보 공유와 교육이 필수입니다.
13. 요약 및 결론
- HPV(Human Papillomavirus)는 200종류 이상의 유형을 가진 흔한 바이러스로, 성적 접촉을 통해 감염되기 쉽습니다. 대부분 무증상으로 자연소멸하지만, 고위험군 HPV가 지속 감염되면 자궁경부암 등 다양한 암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- 정기적인 검진, HPV 백신 접종, 안전한 성생활을 통해 대다수 HPV 관련 질환을 예방하거나 조기 치료할 수 있습니다. 특히 여성의 자궁경부암 검진은 국가적으로도 권장되고 있으며, 남성 또한 백신 접종과 검진을 고려하는 추세입니다.
- HPV에 감염된 것이 곧 암을 의미하진 않으므로, 과도한 공포를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. 다만 고위험군 유형이 검출되었거나, 진단된 병변이 있다면 의료진과 긴밀히 상담하며 적절히 치료하고 추적관리해야 합니다.
- 앞으로 치료 백신, 면역치료 등 HPV에 대한 연구가 발전하면서, HPV 감염이 유발하는 암과 질환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
14. 참고문헌
- zur Hausen, H. (2002). Papillomaviruses and cancer: from basic studies to clinical application. Nature Reviews Cancer, 2(5), 342–350.
- Munoz, N., Bosch, F. X., de Sanjose, S., et al. (2003). Epidemiologic classification of human papillomavirus types associated with cervical cancer.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, 348(6), 518–527.
- Bosch, F. X., Lorincz, A., Munoz, N., Meijer, C. J., & Shah, K. V. (2002). The causal relation between human papillomavirus and cervical cancer.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, 55(4), 244–265.
- Markowitz, L. E., Dunne, E. F., Saraiya, M., Chesson, H. W., &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(CDC). (2014).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: recommendations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(ACIP). MMWR Recommendations and Reports, 63(RR-05), 1–30.
- WHO. (2020). Global strategy to accelerate the elimination of cervical cancer as a public health problem. World Health Organization.
- CDC. (2023). HPV Vaccines. https://www.cdc.gov/
- 대한부인종양학회. (2021). 자궁경부암 가이드라인.
- 대한피부과학회. (2022). 사마귀(우췌유두종)에 대한 자료.
에필로그
HPV 바이러스는 흔하게 감염되는 반면에, 그중 일부 유형이 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많은 사람이 불안감을 느낍니다. 그러나 정확한 정보와 체계적 관리가 있다면 대부분의 문제를 충분히 예방하거나 조기 대처할 수 있습니다.
HPV 백신은 이미 수많은 임상 결과를 통해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되었으며, 앞으로 더 발전된 예방·치료 기술이 나올 전망도 밝습니다.
결국 핵심은 정기 검진과 적절한 생활습관, 그리고 백신 접종이라는 ‘3박자’가 맞물려야 한다는 것입니다. 이 글을 통해 HPV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, 나와 주변인의 건강을 지키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.
건강은 예방에서 시작됩니다. HPV 감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은 적절한 지식과 실천을 통해 미리 막아낼 수 있으니, 꾸준한 관심과 점검을 놓치지 말기를 권합니다.